교회소개


    더사랑교회

    인사말

    |

    인사말.png

    우리교회는 지난 50년 동안 사용해 온 서부제일교회라는 이름 대신에 “더사랑교회”라는 명칭으로 바뀌었습니다.
    교회 명칭이 왜 바뀌게 될까요?
    오랜 기간 사용했던 명칭을 바꾸는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성경 말씀에는 이름이 바뀐 여러 사람들이 있습니다. 

    구약 성경을 생각해보면 아브람이 아브라함이 되었습니다.
    갈대아우르에서 그냥 잊혀질 수 있었던 이름이, 하나님으로 인해 젖과 꿀이 흐르는 땅, 가나안 땅으로 오게 되고, 무엇보다 복의 사람이 되는 믿음의 아버지가 되는 역사가 있게 됩니다. 열국의 아버지, 아브라함입니다.

    야곱의 이름이 이스라엘로 바뀌었습니다.
    부모와 형을 속이고, 빼았는자, 사기꾼의 인생이었던 야곱이 하나님의 은혜로,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의 12지파를 만들어내는 민족의 아버지로서의 사명을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으로 정체성을 찾게 됩니다.

    신약성경을 살펴보면, 게바라는 이름이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물론 뜻은 비슷하지만, 베드로라는 이름을 통해, 믿음의 반석이 되어 교회의 시작을 알립니다.

    예수님과 교회를 핍박했던 사울이 복음 전도자이자 위대한 신학자 바울이 됩니다. 이름의 변화만큼이나 드라마틱한 그의 인생과 소명의 변화이며, 초대 교회의 위대한 복음전도자로서의 삶이 그의 이름 속에 고스란히 남겨져 있습니다.

     

    이제 우리 교회는 더사랑교회가 됩니다. 2020년 50주년을 지나 새로운 비전 50년을 시작하며, 우리 교회는 이제 어떤 교회가 되어야 하느냐?하는 정체성에 관한 질문에 대한 우리의 대답이 바로 이 명칭 속에 담겨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교회가 되어야 할까요? 우리 교회는 왜 더사랑교회입니까?

    믿음.png
    첫번째, 더사랑교회는 하나님께서 더사랑하는 교회입니다.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신다’, ‘하나님이 우리 교회를 사랑하신다’는 고백은 우리의 변하지 않아야 할 고백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랑하시지 않는 교회가 어디에 있겠습니까만은, 우리의 고백이 그래야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이 교회의 주인이심을 믿는다면, 하나님께서 이 교회를 사랑하심을 믿는다면, 우리도 이 교회를 사랑하게 됩니다. 

    우리 교회 역사 속에서 좋은 일만 있었던 것이 아닙니다. 아프고 힘든 일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이곳에 남아 함께 한, 우리 성도들은 우리 교회가 하나님께서 더사랑하는 교회인줄 믿는 믿음이 있었기에 이 교회를 지켰습니다.

    우리 교회는 하나님께서 사랑하는 교회입니다.
    하나님은 우리 교회를 향한 꿈과 비전을 가지고 계십니다. 우리 교회가 더욱 부흥하고 성장하는 교회가 되는 것, 우리 교회가 주변의 많은 교회들에게 인정받는 교회가 되는 것, 우리 교회가 좋은 소문이 나는 교회가 되는 것, 우리 교회가 모든 성도들이 행복한 교회가 되는 것,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주어질 은혜임을 믿습니다.

    사랑.png
    두번째, 더사랑교회는 하나님을 더사랑하는 교회입니다.

     

    교회는 무엇보다 하나님을 더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입니다. 우리는 이제 하나님을 더사랑해야 합니다. 세상보다 더사랑해야 하고, 우리의 가족보다, 우리의 생명보다, 또 우리 눈에 보이는 무엇보다 하나님을 더사랑해야 합니다.

    (마태복음 10:37) “아버지나 어머니를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는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고 아들이나 딸을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도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며”
    (요한복음 12:43) “그들은 사람의 영광을 하나님의 영광보다 더 사랑하였더라”

    이제 우리는, 하나님보다 더 사랑하는 무엇이 없기를 바랍니다. 
    하나님만을 사랑하는 믿음, 주님의 몸된 교회를 더욱 사랑하며 섬기는 귀한 믿음이 되기를 바랍니다.

    여러분,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과 교회를 사랑하는 것은 다른 것일까요? 
    솔직히 현대인들의 믿음 중에 제일 부족한 부분이 이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교회를 사랑하는 마음이 많이 사라져가고 있는 시대입니다. 

    우리는 교회를 가리켜 “주의 몸된 교회”라고 고백합니다. 교회는 내가 원해서 내 신앙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내 자식의 신앙을 위해서,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주의 몸된 교회를 내가 원하는 대로 결정하고 선택할 수 있습니까?

    이제는 우리 주님을, 우리 교회를 더욱 사랑하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럴 때, 우리 교회는 더큰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게 될 줄로 믿습니다.

    4.png
    세 번째, 더사랑교회는 목회자와 성도가 더사랑하는 교회입니다.

     

    결혼식을 떠올려보십시오. 결혼 전에는 서로 좋아하고 행복해서 살았다면, 이제 결혼을 하고 부부가 되면, 결혼식 주례에서 자주 하는 말처럼... 즐거울 때도, 어려울 때도, 기쁠 때도 슬플 때도 항상 사랑하는 관계가 되고, 서로 책임을 지는 관계가 되는 것입니다.

    연애할 때는 모든 것이 좋습니다. 서로를 바라볼 때마다 행복합니다. 하지만, 늘 그렇지 않은 것이 인간입니다. 평생에 변하지 않는 감정, 연애가 어디에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변하고 식어가는 것이 우리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부부는 잠시의 기분이나 느낌이 아니라 일상의 행복을 함께하는 사람입니다. 평생을 함께 동일한 곳을 향해 걸어가는 사람입니다.

    우리 주님이 목회자를 향해 말씀하십니다.
    (요한복음 13:14) “내가 주와 또는 선생이 되어 너희 발을 씻었으니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 주는 것이 옳으니라”

    주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겨 주셨습니다. 그리고 너희도 그렇게 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저는 목회를 하며, 목회자는 가르치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그렇지만, 저는 이제 위로하는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회자가 더 잘 섬기고, 겸손하고, 낮아져야 교회가 살고 성도가 산다는 것을 믿습니다. 고집이나 혈기가 아니라, 주님 앞에서 겸손하게 하지만, 말씀대로 목회하며 걸어가려고 합니다.

    우리 주님이 성도들을 향하여 말씀하십니다.
    (갈라디아서 6:6) “가르침을 받는 자는 말씀을 가르치는 자와 모든 좋은 것을 함께 하라”

    여기서 좋은 것이란,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습니다만, 주님 안에서 사랑으로 섬기라는 뜻입니다.

    목회자는 받는 사람이 아니고 섬기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성도들의 사랑을 받고 목회하는 사람입니다. 목회자가 교회와 성도를 목숨보다 사랑하고 섬겨야 하는 것 당연합니다. 그리고, 교회도 성도도 목회자에게 인색하거나, 계산적이면 안됩니다. 

    우리는 그런 관계가 아닙니다. 서로를 사랑하고 이해하고 섬기는 관계입니다. 
    싫어도 좋아도 우리는 우리 교회, 우리 목사님, 우리 성도들입니다.
    우리 교회가 이제는 목회자와 성도가 서로를 너무나 사랑하는 교회가 되기를 간절히 소원합니다.

    3.png
    마지막으로, 더사랑교회는 서로가 서로를 더사랑하는 교회입니다.

     

    우리는 부모 형제보다 더 자주 만나고, 더 자주 대화하고, 더 자주 밥을 먹고, 더 자주 기도제목을 나눕니다. 생명의 양식인 하나님 말씀을 함께 나누는 형제 자매입니다. 교회라는 공동체는 믿음의 공동체이며, 운명공동체입니다. 누구든지 기쁠 때, 함께 기뻐하고, 슬플 때, 함께 슬퍼하는 교회가 되어야 합니다.

    서로를 위해 기도가 끊이지 않는 교회, 서로를 너무나 사랑하는 교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우리 교회에 새가족이 누가 오더라도, 우리 교회 성도들의 사랑을 느낄 수 있도록, 더사랑교회는 정말 이름 그대로 사랑이 많은 교회이구나, 자랑할 수 있는 교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고린도전서 13:13)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의 제일은 사랑이라

    이제 우리 교회는 더사랑교회입니다. 이름값을 하는 교회가 됩시다. 
    그렇게 될 때, 놀라운 일이 생겨날 줄로 믿습니다. 기적이 일어날 줄로 믿습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와 복이 우리 더사랑교회와 성도들 가정 가운데 넘쳐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2023년 1월, 위임목사    sign.png